뉴베리 콜더컷 독후감 대회 수상작 발표
이벤트 기간: 2025-02-28 ~ 2025-03-31
교보문고 X 책읽는곰 | 어린이 문학계의 노벨상 뉴베리/콜더컷 수상작 독후감 대회 수상작 발표

그 아이는 자신을 사랑할 수 있게 됐을까?
(나는 크고 아름다워요)
(나는 크고 아름다워요)
저는 평상시에 핑크색을 참 좋아해요. 그래서인지 사랑스럽고 따뜻한 느낌이 드는 이 책이먼저 눈에들어왔어요.
표지를 가만히 들여다보니 한 여자아이가 자신보다 큰 글을 두 손으로 바 치고 있는 모습이 마치 자기소개하는 느낌이었습니다. 그래서 이 아이가 궁금해져서 이 책을 펼쳐보게 되었어요.
이 이야기는 또래보다 몸이 큰 여자아이가 주위사람들의 편견에 상처되는 말로 자신감도 잃고 슬퍼하다가 결국에는 자기 자신을 사랑하게 된다는 내용입니다.
따가운 말들로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말하는 장면이 있는데 내가 그 아이 친구라면 이렇게 위로해 주고 싶었어요.
“자기가 누군지 모르겠고”는 “너는 착하고 좋은 아이야.”
“어디에도 어울리지 않는 것 같고”는 “어디에도 잘 어울려.”
“너무 눈에 띄는 것 같고”는 “너의 모습이 잘 어울려.”
“모두 수근대는 것 같고”는 “너가 멋져서 칭찬중이야.”
“못 본척하는 것 같았어요.”는 “너를 배려중이야.”라고요.
아이가 눈물을 흘린 장면에 여러 글들이 떠다니는데 기억에 가장 남는건 좋은 말은 자기 가슴에 담고 부정적인 말들은 손으로 휘저어 없애는 모습 이였어요.
이후로 자신감을 되찾고 친구들에게 자신이 슬펐었던 감정을 표현하는 용기있는 모습이 보기 좋았고 잘했다고 칭찬해주고 싶었어요.
또한 이 장면에서 긍정적인 말의 힘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었습니다.
마지막 장면에서 아이가 자신감을 찾고 내 자신을 그대로 사랑하게 되는 장면이 멋지고 아름다웠습니다.
저도 앞으로 제 자신을 사랑 해야겠다고 다짐 했습니다.
표지를 가만히 들여다보니 한 여자아이가 자신보다 큰 글을 두 손으로 바 치고 있는 모습이 마치 자기소개하는 느낌이었습니다. 그래서 이 아이가 궁금해져서 이 책을 펼쳐보게 되었어요.
이 이야기는 또래보다 몸이 큰 여자아이가 주위사람들의 편견에 상처되는 말로 자신감도 잃고 슬퍼하다가 결국에는 자기 자신을 사랑하게 된다는 내용입니다.
따가운 말들로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말하는 장면이 있는데 내가 그 아이 친구라면 이렇게 위로해 주고 싶었어요.
“자기가 누군지 모르겠고”는 “너는 착하고 좋은 아이야.”
“어디에도 어울리지 않는 것 같고”는 “어디에도 잘 어울려.”
“너무 눈에 띄는 것 같고”는 “너의 모습이 잘 어울려.”
“모두 수근대는 것 같고”는 “너가 멋져서 칭찬중이야.”
“못 본척하는 것 같았어요.”는 “너를 배려중이야.”라고요.
아이가 눈물을 흘린 장면에 여러 글들이 떠다니는데 기억에 가장 남는건 좋은 말은 자기 가슴에 담고 부정적인 말들은 손으로 휘저어 없애는 모습 이였어요.
이후로 자신감을 되찾고 친구들에게 자신이 슬펐었던 감정을 표현하는 용기있는 모습이 보기 좋았고 잘했다고 칭찬해주고 싶었어요.
또한 이 장면에서 긍정적인 말의 힘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었습니다.
마지막 장면에서 아이가 자신감을 찾고 내 자신을 그대로 사랑하게 되는 장면이 멋지고 아름다웠습니다.
저도 앞으로 제 자신을 사랑 해야겠다고 다짐 했습니다.
어둠을 걷어내는 희망의 빛
-‘어둠을 걷는 아이들’을 읽고-
-‘어둠을 걷는 아이들’을 읽고-
아무런 잘못도 저지르지 않았는데 범죄자인 부모에게서 태어났다는 이유로 교도소에서 열세 살이 될 때까지 나가지 못한다면어떨까? 만일 나라면 몹시억울하고, 나에게 꽂히는시선에 화가 날것도 같다.
이 이야기는 남원 교도소에서 나가려면4년이나 더 기다려야 하는 두 아이, ‘퐁’과 ‘솜킷’으로부터 흥미 롭게 시작된다.
책을 펼친 지얼마되지않아서부터나는놀랐고, 또감동했다. 지긋지긋한교도소에서탈출할 소중한 기회를 친구에게 넘긴 아이가 있었던 것! 바로 퐁의 단짝, 솜킷이었다. 둘의 사이가 각별한 것은 알고 있었지만 이 정도일줄은 몰랐다. 물론 그때는 둘다알지 못했다.이 일이초래할결과를.......
솜킷 대신 교도소를 탈출한 퐁은 사원으로 가서 ‘참 사부’를 만나게 된다. 참 사부는 이 책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인물이기도한데, 대 화재 때버려진아이들에게축복을 내려주기도하고, 축복을 내려준 아이들을 세상 곳곳에 퍼뜨려 빛을 가져오기를 바라던 사람이자 퐁의 굳은 결심을 완성시켜 준 사람이 기 때문이다. 참사부를 보면 <레미제라블>의미리엘 주교가 생각난다. 그만큼 선하고 진실한 사람이기 때문일 것이다. 무엇보다 퐁과의 첫 만남에서퐁이 도둑질을했는데, 선한 거짓말로퐁을궁지에서 구해주는 행동역시 미리엘주교와정말똑같았다.
한편, 대 화재로 인해 모든 것이 불탄 도시‘차타나’에 다시 빛을 가져온 사람이 있다. 바로 총독이었 다. 하지만 빛과 어둠은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것 아닐까? 빛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어둠이 될 수도 있는법. 총독은 어둠이었다. 그의등장은 차타나에 빛을 가져온 동시에 어둠도가져왔다.
총독은 차갑게 말한다. “법은 곧 빛이다. 법은 그것을 누릴 자격이 있는 이들을 비추되, 악인은 응징하는 빛이니라. 다른 이들은 모두어둠 속으로 떨어진다.”
‘빛’은, 정말 총독의 말처럼 ‘누릴 자격이 있는 자들만’을 비추는 것일까? 만일 그렇다면 그 ‘누릴 자 격’의 기준이란 무엇일까? 나는 총독과는 달리, 빛이란 누릴 자격이 있거나 없는것이 아니라 누구나 누 릴 수있는 것이라 생각한다. 빛을 누리는 사람과 어둠 속에 있을사람이란 ‘정해져있는’ 것이 아니니 까 말이다.
우리는 종종 타고난 환경에의해 규정되고판단된다. 이를 테면, 다문화 가정의 친구라든지 한부모 가정의 친구들, 장애가 있거나 외모가평범하지 않은친구들...... 우리 학교만 봐도그렇다.
“저 애는부모가 한국 사람이 아니래.” “어쩐지, 이상하다 했어.”
자신의 의지로 선택할 수 있는게 아님에도 불구하고, 남들과 다르다는 이유로 ‘다른 것’은 ‘틀린 것’ 이 되어버린다. 어느 책에선가 ‘다르다’와 ‘틀리다’를 혼동하는 이유가 그런 무의식 때문이라는 글을 읽은 적도 있다. 학교에서 편견과 선입견은 옳지않은 것이라배우지만, 어른들조차 그런생각에서자유롭 지 못한 것같다.
이 책에는 빛과어둠, 쫓는 자와 쫓기는 자, 부자와 가난한자가 나오지만, 세상은 언제나이렇게 극 단적인 두 가지로만 나누어지지 않는다. 깜깜한 밤이 새벽을 지나 아침이 되는 것처럼, 어둠을 밝히는 빛이 비추는 시간은반드시 오니까말이다. 중요한 것은, 어둠이 걷히기를 기다리지않고 스스로 그 어둠을 걷어내는 것이아닐까?
사실 이 책을 처음 봤을때, ‘어둠을 걷는 아이들’이라고 해서 어둠 속을 걷는 아이들을 상상했었다.
교도소라는 어두운 곳에서 태어나 평범하지 않은 삶을 시작해야 했던 퐁의 이야기를 읽는 동안에도 내내 그렇게생각했다. 하지만 퐁의 이야기를 몇 번이나읽은 지금, 이제야알 것 같다. 이 책은 어둠 속을 걷는 게아닌,스스로어둠을걷어내는아이들의이야기를담고 있다는것을 말이다.
이 책은‘레미제라블’을 떠올리게 하지만 그와는 또 다른 강한 힘으로 나를 끌어당긴다. 읽는 내내 당차고 당돌한 퐁과 퐁의친구들을 저절로 응원하게 만든다. 그리고 시시각각 손에 땀을 쥐다가, 마지막 장에서는 박수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 어느 책에서 읽었던글처럼, 밤하늘의 별에 이야기가담겨 있다면, 이 이야기는 가장 밝게빛나는 별 중하나일것이다.
책장을 덮으며 나는 생각한다. 읽으면 사람들이 행복해지는, 퍽퍽한 현실에 ‘환상’이라는 부드럽고 쫄깃한 비밀 양념을 더하는 글을 쓰는 작가가 되고 싶다는 나의 꿈에 한가지가 더해졌다고. 바로 퐁과 퐁의 친구들처럼, 언젠가 내게도 어둠이 찾아올 때 희망의 빛으로그 어둠을걷어내는것. 그리고내 글을 읽는 사람들역시그런마음을품게하는작가가되는것! 그리고나는그 꿈을꼭 이룰것이다.
이 이야기는 남원 교도소에서 나가려면4년이나 더 기다려야 하는 두 아이, ‘퐁’과 ‘솜킷’으로부터 흥미 롭게 시작된다.
책을 펼친 지얼마되지않아서부터나는놀랐고, 또감동했다. 지긋지긋한교도소에서탈출할 소중한 기회를 친구에게 넘긴 아이가 있었던 것! 바로 퐁의 단짝, 솜킷이었다. 둘의 사이가 각별한 것은 알고 있었지만 이 정도일줄은 몰랐다. 물론 그때는 둘다알지 못했다.이 일이초래할결과를.......
솜킷 대신 교도소를 탈출한 퐁은 사원으로 가서 ‘참 사부’를 만나게 된다. 참 사부는 이 책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인물이기도한데, 대 화재 때버려진아이들에게축복을 내려주기도하고, 축복을 내려준 아이들을 세상 곳곳에 퍼뜨려 빛을 가져오기를 바라던 사람이자 퐁의 굳은 결심을 완성시켜 준 사람이 기 때문이다. 참사부를 보면 <레미제라블>의미리엘 주교가 생각난다. 그만큼 선하고 진실한 사람이기 때문일 것이다. 무엇보다 퐁과의 첫 만남에서퐁이 도둑질을했는데, 선한 거짓말로퐁을궁지에서 구해주는 행동역시 미리엘주교와정말똑같았다.
한편, 대 화재로 인해 모든 것이 불탄 도시‘차타나’에 다시 빛을 가져온 사람이 있다. 바로 총독이었 다. 하지만 빛과 어둠은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것 아닐까? 빛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어둠이 될 수도 있는법. 총독은 어둠이었다. 그의등장은 차타나에 빛을 가져온 동시에 어둠도가져왔다.
총독은 차갑게 말한다. “법은 곧 빛이다. 법은 그것을 누릴 자격이 있는 이들을 비추되, 악인은 응징하는 빛이니라. 다른 이들은 모두어둠 속으로 떨어진다.”
‘빛’은, 정말 총독의 말처럼 ‘누릴 자격이 있는 자들만’을 비추는 것일까? 만일 그렇다면 그 ‘누릴 자 격’의 기준이란 무엇일까? 나는 총독과는 달리, 빛이란 누릴 자격이 있거나 없는것이 아니라 누구나 누 릴 수있는 것이라 생각한다. 빛을 누리는 사람과 어둠 속에 있을사람이란 ‘정해져있는’ 것이 아니니 까 말이다.
우리는 종종 타고난 환경에의해 규정되고판단된다. 이를 테면, 다문화 가정의 친구라든지 한부모 가정의 친구들, 장애가 있거나 외모가평범하지 않은친구들...... 우리 학교만 봐도그렇다.
“저 애는부모가 한국 사람이 아니래.” “어쩐지, 이상하다 했어.”
자신의 의지로 선택할 수 있는게 아님에도 불구하고, 남들과 다르다는 이유로 ‘다른 것’은 ‘틀린 것’ 이 되어버린다. 어느 책에선가 ‘다르다’와 ‘틀리다’를 혼동하는 이유가 그런 무의식 때문이라는 글을 읽은 적도 있다. 학교에서 편견과 선입견은 옳지않은 것이라배우지만, 어른들조차 그런생각에서자유롭 지 못한 것같다.
이 책에는 빛과어둠, 쫓는 자와 쫓기는 자, 부자와 가난한자가 나오지만, 세상은 언제나이렇게 극 단적인 두 가지로만 나누어지지 않는다. 깜깜한 밤이 새벽을 지나 아침이 되는 것처럼, 어둠을 밝히는 빛이 비추는 시간은반드시 오니까말이다. 중요한 것은, 어둠이 걷히기를 기다리지않고 스스로 그 어둠을 걷어내는 것이아닐까?
사실 이 책을 처음 봤을때, ‘어둠을 걷는 아이들’이라고 해서 어둠 속을 걷는 아이들을 상상했었다.
교도소라는 어두운 곳에서 태어나 평범하지 않은 삶을 시작해야 했던 퐁의 이야기를 읽는 동안에도 내내 그렇게생각했다. 하지만 퐁의 이야기를 몇 번이나읽은 지금, 이제야알 것 같다. 이 책은 어둠 속을 걷는 게아닌,스스로어둠을걷어내는아이들의이야기를담고 있다는것을 말이다.
이 책은‘레미제라블’을 떠올리게 하지만 그와는 또 다른 강한 힘으로 나를 끌어당긴다. 읽는 내내 당차고 당돌한 퐁과 퐁의친구들을 저절로 응원하게 만든다. 그리고 시시각각 손에 땀을 쥐다가, 마지막 장에서는 박수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 어느 책에서 읽었던글처럼, 밤하늘의 별에 이야기가담겨 있다면, 이 이야기는 가장 밝게빛나는 별 중하나일것이다.
책장을 덮으며 나는 생각한다. 읽으면 사람들이 행복해지는, 퍽퍽한 현실에 ‘환상’이라는 부드럽고 쫄깃한 비밀 양념을 더하는 글을 쓰는 작가가 되고 싶다는 나의 꿈에 한가지가 더해졌다고. 바로 퐁과 퐁의 친구들처럼, 언젠가 내게도 어둠이 찾아올 때 희망의 빛으로그 어둠을걷어내는것. 그리고내 글을 읽는 사람들역시그런마음을품게하는작가가되는것! 그리고나는그 꿈을꼭 이룰것이다.

이벤트 상품
독후감 대회 대상 도서
책읽는곰과 교보문고가 추천하는 수상작